작년보다 유행 시기 3주 정도 일러
고위험군 5세 이하 영유아 주의해야
(서울=연합뉴스) 김상훈 기자 = 선천성 심장병(CHD) 어린이나 미숙아 등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의 'RS(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발생이 급격히 늘고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감기 등 급성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 가운데 5세 이하 영유아들에게서 RS바이러스 발생이 급격하게 늘어 가을철 유행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21일 밝혔다.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 바이러스 실험실 감시사업' 자료 분석결과 올해 40번째주부터 42번째주(9월25일∼10월15일)에 RS바이러스 검출률이 각각 8.7%, 12.7%, 15.4%를 기록해 RS바이러스 가을철 유행이 최근 3년 평균에 비해 약 3주가량 앞당겨진 것으로 보인다고 질병관리본부는 진단했다.
최근 4주간 검출된 호흡기 바이러스의 23.0%(391건 중 90건)가 RS바이러스였고, RS바이러스 검출 환자의 98%(90명 중 88명)는 5세 이하의 영유아였으며, 특히 1세 미만 유아의 발생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는 영유아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기 위해 손씻기 등 개인위생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권고했다.
RS바이러스는 대표적인 겨울철 유행 바이러스의 하나로 주로 가을부터 이듬해 초봄까지 발생하는데, 영유아 중증 호흡기질환의 원인 바이러스로 알려졌다.
다음은 질병관리본부가 제시한 RS바이러스 감염 예방 행동요령이다.
▲아기를 만지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씻을 것
▲감기에 걸린 사람과 아기가 접촉하지 않도록 할 것
▲사람이 많은 환경에 아기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
▲아기의 장난감과 이불을 자주 세척할 것
▲아기를 간접흡연으로부터 보호할 것
▲유아용 젖꼭지나 식기, 칫솔, 수건 등 개인적 물품들은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말 것
meolakim@yna.co.kr
(끝)
출처 :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11021115526163&p=yonhap
고위험군 5세 이하 영유아 주의해야
(서울=연합뉴스) 김상훈 기자 = 선천성 심장병(CHD) 어린이나 미숙아 등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의 'RS(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발생이 급격히 늘고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감기 등 급성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 가운데 5세 이하 영유아들에게서 RS바이러스 발생이 급격하게 늘어 가을철 유행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21일 밝혔다.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 바이러스 실험실 감시사업' 자료 분석결과 올해 40번째주부터 42번째주(9월25일∼10월15일)에 RS바이러스 검출률이 각각 8.7%, 12.7%, 15.4%를 기록해 RS바이러스 가을철 유행이 최근 3년 평균에 비해 약 3주가량 앞당겨진 것으로 보인다고 질병관리본부는 진단했다.
최근 4주간 검출된 호흡기 바이러스의 23.0%(391건 중 90건)가 RS바이러스였고, RS바이러스 검출 환자의 98%(90명 중 88명)는 5세 이하의 영유아였으며, 특히 1세 미만 유아의 발생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는 영유아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기 위해 손씻기 등 개인위생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권고했다.
RS바이러스는 대표적인 겨울철 유행 바이러스의 하나로 주로 가을부터 이듬해 초봄까지 발생하는데, 영유아 중증 호흡기질환의 원인 바이러스로 알려졌다.
다음은 질병관리본부가 제시한 RS바이러스 감염 예방 행동요령이다.
▲아기를 만지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씻을 것
▲감기에 걸린 사람과 아기가 접촉하지 않도록 할 것
▲사람이 많은 환경에 아기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
▲아기의 장난감과 이불을 자주 세척할 것
▲아기를 간접흡연으로부터 보호할 것
▲유아용 젖꼭지나 식기, 칫솔, 수건 등 개인적 물품들은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말 것
meolakim@yna.co.kr
(끝)
출처 :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11021115526163&p=yonhap
사업자 정보 표시
서광 | 조각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739-2 반월공단 5BL-20LT | 사업자 등록번호 : 134-23-54389 | TEL : 02-6369-9876 | Mail : haccpi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06-경기안산-0243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플러스 깍두기서 식중독균 기준치 초과, 회수조치 (0) | 2011.11.18 |
---|---|
광고를 보는 소비자의 눈(오존수) (0) | 2011.11.03 |
신세계百 바나나서 농약 과다 검출 (0) | 2011.10.17 |
서울시내 음식점 20% '파채' 식중독균 검출 (0) | 2011.10.16 |
美서 리스테리아균 감염 식중독으로 16명 사망 (0) | 2011.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