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관리점(CCP) 결정
- 위해요소 분석이 끝나면 해당 제품의 원료나 공정에 존재하는 잠재적인 위해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중요관리점을 결정해야 한다. 중요관리점이란 원칙 1에서 파악된 위해요소를 예방, 제거 또는 허용 가능한 수준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최종 단계 또는 공정을 말한다.
- 식품의 제조·가공·조리공정에서 중요관리점이 될 수 있는 사례는 다음과 같으며, 동일한 식품을 생산하는 경우에도 제조·설비 등 작업장 환경이 다를 경우에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 1) 미생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냉각공정
2)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하여 특정 시간 및 온도에서 가열처리
3) pH 및 수분활성도의 조절 또는 배지 첨가 같은 제품성분 배합
4) 캔의 충전 및 밀봉 같은 가공처리
5) 금속검출기에 의한 금속이물 검출공정 등 - CCP를 결정하는 하나의 좋은 방법은 중요관리점 결정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 결정도는 원칙1의 위해 평가 결과 중요위해(확인대상)로 선정된 위해요소에 대하여 적용한다.
중요관리점(CCP) 결정도
중요관리점(CCP) 결정표
※ 위해요소 분석 결과, 위험도가 높은 항목(Hazard)만 중요관리점(CCP) 결정도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중요관리점(CCP) 결정표에 작성

사업자 정보 표시
서광 | 조각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739-2 반월공단 5BL-20LT | 사업자 등록번호 : 134-23-54389 | TEL : 02-6369-9876 | Mail : haccpi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06-경기안산-0243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HACCP(해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차 9 - CCP 모니터링체계확립 (0) | 2012.11.20 |
---|---|
절차 8 - CCP 한계기준 설정 (0) | 2012.11.20 |
절차 6 - 위해요소분석 (0) | 2012.11.20 |
절차 5 - 공정흐름도 현장확인 (0) | 2012.11.20 |
절차 4 - 공정흐름도 작성 (0) | 2012.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