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해수 친환경 농법

딸기 병해충의 발생과 방제대책

가. 딸기에 발생하는 병해충 종류

  ○ 병해 : 바이러스병, 누른오갈병, 검은무늬병, 잿빛곰팡이병, 탄저병, 뿌리썩음병, 겹무늬병, 잎마름병, 시들음병, 뱀눈무늬병, 점균병, 역병, 눈마름병, 무름병, 흰무늬병, 흰가루병, 딸기잎선충, 딸기눈선충, 사과뿌리썩이선충,  딸기뿌리썩이선충 등

  ○ 해충 :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온실가루이, 애검은거위벌레, 점박이응애, 차먼지응애,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흰나비


<표 1> 주요품종의 병해충 저항성

품 종 명

재배작형

내  병  충  성

탄저병

흰가루병

시들음병

바이러스

응 애

여  홍

여  봉

도요노까

아이베리

수  홍

보교조생

아끼히메

미  홍

레드펄

도치오또메

사치노카

촉성재배

반촉성재배

반촉성노지

촉성재배

촉성, 반촉성

S

S

 

S

R

R

S

S

R

S

S

S

S

S

S

R

R

S

R

M

M

S

 

 

 

 

R

S

 

R

S

S

S

 

 

 

S

 

S

 

 

S

R

S

 


  (1) 흰가루병(白粉病) Powdery mildew Sphaerotheca aphanis

  주로 과일과 과일꼭지 및 잎의 앞, 뒷면에 발생하며 어린과일에 발생하면 비대가 늦고 숙과에 발생하면 전혀 상품성이 없게 된다. 이 병원균은 살아있는 식물체에 기생하며 발생적온은 15∼20℃이고 5℃이하와 35℃이상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환기가 불량하거나 고온조건이 오래 계속되면 발생이 많아지며 보교조생보다 여흥이 더 심하게 발병한다.


<표 2> 산화전위수(산성전해수)를 이용한 흰가루병 방제

처 리 내 용

이병과율(%)

방제가(%)

산화전위수

대 조 약 제

무   처   리

8.6

8.0

37.1

76.8

78.4

-

 * 처리방법

  - 산화전위수 : 개화전부터 7일 간격 분무살포

  - 대조약제 : 발병 초7일 간격 살포


   ◎ 산화전위수(산성전해수)란

    - 일반 지하수나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물로 pH 2.5의 강산성 물이다.

    - 살균력 원인은 산화전위수가 강한 산화력을 가져 다른 물질의 전자를 뺏는 힘이 아주 강하기 때문에, 병원균 세포막의 전자를 빼앗아 병원균의 기능을 상실하게 한다.(예방제)

    - 강한 산성이지만 공기 등 어떤 물체라도 접촉만 하면 다시 원래 물로 돌아오기 때문에 무공해의 안전 농산물 생산 가능


<그림 1> 산화전위수에 의한 오이 흰가루병 방제


<그림 2> 산화전위수에 의한 토마토 잎곰팡이병 방제


  (2)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Botrytis Cinerea

  다습할 때 발생하는 병해로 꽃잎, 과일, 과일꼭지, 잎자루에 발생하며 수확기의 과일은 1∼2일 사이에 썩어 문드러지고 회색가루모양의 곰팡이가 발생한다. 시설안은 과습이 되기 쉽고 특히 3∼4월의 연속 강우는 토양수분의 상승으로 종일 과습이 되어 이병의 발생 적온이 된다. 발생이 많은 품종은 보교조생, 다나 등이다. 시설 내가 다습하지 않도록 배수와 환기에 노력하며 아래 잎은 따내어 전염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표 3> 딸기잿빛곰팡이병균의 지역별 약제내성균의 분포


  (3) 바이러스병(Viral disease)

  진딧물에 의해 매개되며 딸기 반문바이러스(SMV), 딸기엽면미황바이러스(SMYEV), 딸기축엽바이러스(SCV), 딸기엽맥대화바이러스(SVBV) 등이다. 건전한 포기에 비하여 생육이 불량하고 키가 낮고 작으며 잎의 끝부분이 뾰족해진다. 과일은 작고 수확량은 적어진다. 다년간 딸기를 재배하고 있는 지역에는 거의 중복감염이 나타난다. 무병주를 재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제 대책이다

  (4) 시들음병(萎黃病) Fusarium Wilt Fusarium axysprium

  시들음병이 발생하면 피해포기는 급격히 생육이 불량해지고 잎은 광택이 없어지며 아랫잎부터 갈색으로 변하고 말라죽는다. 이 병원균은 20℃이상의 지온에서 연작하면 피해가 심해지고 균의 밀도가 높아지면 약제살포에 의한 소독효과도 적다. 보교조생은 여름철 고온 시에 가식상에 발생하여 급속히 시들어 말라 죽는다. 방제대책은 토양병해로 병균의 밀도가 낮은 토지에 무병주를 재배해야 한다.

  (5) 뱀눈무늬병(蛇眼病) Leaf spot Mycosphaerella fragariae

  뱀눈무늬병의 병반은 주변은 농자색을 띠나 중앙부는 회색이 되어 흡사 뱀눈과 같은 형태를 나타내며 오래된 아랫잎에서 나타나 처음에는 불명확한 작은 반점이 생기나 나중에는 직경 5∼6mm정도의 크기가 된다. 봄, 가을의 다습한 토양에서 발생하는 자낭균류에 속하는 병으로 주로 잎에 발생하며 꽃대와 꽃받침에도 발생한다. 병원균의 발육적온은 18∼22℃이다. 방제약제는 육묘 기간 중 만코지 수화제 400배를 2∼3회 살포한다.

  (6) 겹무늬병(輪斑病) Leaf blight Dendrophama obscurans

  잎에만 발생하는 불완전균류에 속하는 병해로 병균이 침입하면 잎에 작은 반점이 생기고 이것이 확대되어 갈색으로 되면 둥근무늬가 형성된다. 고온성 병해로 장마후 8월부터 기온이 28∼30℃가 되면 급격히 발생한다. 다나, 보교조성, 복유, 행옥 등은 내병성이 약하고 사계성, 방옥 등은 비교적 강하다. 방제약제는 장마기에는 타로닐수화제, 만코지수화제를 2∼3회 살포한다.

  (7) 역병(疫病) Phytophthora root rot Phytohthora sp

  토양전염 및 공기전염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배수불량의 저습지에서 이랑이 낮을 경우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다. 이 병은 여름에서 가을의 고온기에 강우나 관수에 의한 수매전염으로 퍼져나간다. 여홍과 춘향에서 피해가 심하고 보교조생과 다나는 피해가 덜하다. 약제방제로는 발병초기에 캡타폴수화제, 메타실수화제를 관주하고 피해 받은 포기는 제거하여 소각시켜버린다.

  (8) 탄저병(炭疸病) Anthracnose Glomerella cingulata

  고온기에 주로 발생하는 병해로 보통 7월말부터 9월말까지 발생하며 잎과, 잎자루, 꽃잎, 과일 따위를 침해한다. 증상은 국부에 병반이 나타나는 것과 포기전체가 시드는 것의 2가지로 나누며 국부병반형은 3∼7mm의 흑색방추형과 타원형병반을 형성하고 확대되면 러너와 잎자루끝이 말라죽는다. 포기가 시드는 현상은 어린잎 1∼2매가 생기를 잃고 늘어지다가 해질무렵이나 날씨가 흐릴 때 다소 회복하나 결국 말라죽는다. 적용약제는 없으나 캡타폴수화제, 타코닐수화제를 어미포장에서 3∼4회, 가식상에서 2∼3회 뿌려준다.

[호리쿠어(作期에 2∼3회 살포), 실바코(치료제), 안트라콜, 후론사이드(예방제)]

  (9) 눈마름병(芽枯病) Bud rot Rhizoctonia Solani

  생육초기부터 중기까지 저온기에 많이 발생한다. 감염초기에는 관부의 새싹부위가 적갈색을 띠면서 마르고 진전되면 암갈색으로 변하여 말라죽는다. 병든식물체는 생육이 불량하고 심하게 진전되면 그루전체가 말라죽는다.





<실제 딸기 농장 전해수 생성기 설치사례>



사업자 정보 표시
서광 | 조각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739-2 반월공단 5BL-20LT | 사업자 등록번호 : 134-23-54389 | TEL : 02-6369-9876 | Mail : haccpi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06-경기안산-0243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